페이스북 로고. /페이스북 제공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가 미국 의회에서 난타당했다. 이와 함께 네이버 스포츠 뉴스의 기사 부당 편집 의혹이 불거지며 포털의 윤리적 책임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


러시아 관련 계정에서 광고 또는 클릭 인정

6일(현지시각) 뉴욕타임스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 소속 변호사는 지난달 31일부터 지난 1일까지 열린 러시아의 대선 개입 관련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하여 러시아의 대선 개입 정황에 관한 자체 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들 업체의 변호사들은 러시아 관련자들이 광고 및 클릭한 사실은 인정하였지만, 선거에 실제로 미친 영향력은 크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페이스북은 청문회에서 러시아 관련인들이 최소 3,000개의 정치 광고를 구매했고, 대선 기간인 2015년 1월부터 시작하여 2017년 8월까지 8만 개의 포스팅을 올렸다고 밝혔다.

하지만 페이스북은 해당 기간 관련 포스팅을 본 이용자는 1억2,600만 명으로 전체 게시물에서 해당 게시글이 차지하는 비율이 적다는 점을 강조했다. 페이스북 측은 “2만3,000건 중 1건 수준이다”며 말했다.

트위터는 러시아의 '인터넷 리서치 에이전시'(Internet Research Agency)와 연계된 2,752개의 계정을 찾았고, 이들 계정이 지난해 9월부터 11월 사이에 13만1,000개의 트윗을 올렸다고 말했다. 또한, 트위터는 같은 기간 3만6,000개의 계정이 자동으로 올린 140만 개의 트윗이 러시아와 연관된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구글은 러시아와 관련된 것으로 보이는 계정이 인종·종교·정치적 주제를 담은 1,100만 개 이상의 동영상을 유튜브에 올렸고, 이들 동영상은 총 30만9,000회 재생되었다고 발표했다. 청문회에 출석한 리차드 살가도 구글 법률 수석 고문은 유튜브에 올라온 러시아 관련 비디오는 타 소셜 미디어 플랫폼보다 적은 양이라는 사실을 강조했다.

네이버부터 구글까지… 책임론을 회피하는 ‘언론 위의 언론’

인터넷 이용자 대부분은 웹 환경의 초기 관문인 포털 사이트를 이용한다. 세계 시장에서 구글이 91.4%(9월 기준), 한국 시장에서 네이버가 72.4%(9월 PC 기준)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을 정도로 포털은 정보 검색으로의 허브 역할을 한 지 오래다.

지난달 31일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한 3사 변호사. 왼쪽부터 콜린 스트레치(페이스북), 션 에짓(트위터), 리처드 멘도자(구글)이다. /출처: 가디안

이번 청문회에서 존 케네디 공화당 의원은 구글 측에 “구글은 스스로 언론사인지 아닌지 명확히 하라”라고 추궁했다. 이에 대해 리처드 살가도 구글 법률 수석 고문은 “구글은 언론사가 아니며 수많은 언론사가 만든 뉴스를 누구나 볼 수 있게 하는 플랫폼”이라며 구글의 역할을 한정지었다.

이 발언은 국내 최대 포털 네이버의 최고 결정 권자인 이해진 창업자 겸 글로벌투자책임자(GIO)가 지난달 30일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종합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하여서 한 발언과 똑 닮았다. 이날 이 전 회장은 ‘네이버를 언론으로 보느냐’는 의원 질의에 “(네이버가) 뉴스를 생산치 않아 기존의 언론과 다른 개념이라 생각한다”라고 답변했다.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도 대선 직후 가짜 뉴스 논란에 관련하여 “페이스북에서 유통되는 게시물의 99%는 진실한 정보다”라고 주장하며 책임론을 회피하는 모습을 보였다.

미국 청문회에서 야당인 민주당 의원들은 여론 조작 같은 심각한 범죄 행위를 막기 위해 새로운 규제를 만들어야 한다고 소리를 모았다. 여당 공화당 의원들도 대형 인터넷에 대해 “언론사와 비슷한 역할을 하면서 책임을 지려 하지 않는다”라며 규제의 필요성에 동의했다.

한국 정치권에서도 비슷한 불만이 나오고 있다. 국민의당 송기석 의원은 지난 30일 국감에서 한성숙 네이버 대표와 임지훈 카카오 대표에게 공정한 기사 배치, 가짜 뉴스 차단 등 사회적 책임을 다하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