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들은 CSR 경영이 기업운영에 긍정적 도움을 준다고 인식하고 있지만 인적 물적 자원의 한계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과예산이 부족해서’ ’CSR 방법을 몰라서’ ‘관련 법제도와 정부지원책이 부족해서’ ‘경영진의 관심과 의지가 부족해서’ ‘임직원의 관심이 부족해서’ ‘효과에 대해 의문이 들어서’ 등의 이유를 들었다.

지난해 12월27일 열린 국회 CSR 정책 연구포럼(대표 홍일표 새누리당 의원) 간담회에서 한국생산성본부 이춘선 상무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13년 중소기업 사회적책임(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추진 현황’을 내놓았다. 주요 내용을 요약한다.

CSR이 무엇인지 알고있는 중소기업의 비중은 2008년 75%에서 2011년 84%로 높아진데 이어 2013년에도 86%로 상승추세를 이어갔다. 중소기업이 생각하는 CSR 활동은 고용창출 등 경제적 책임 이행, 지역사회 발전 기여, 임직원 근로조건 향상 등 순이었다.

중소기업의 CSR 활동은 조직규모에 따라 추진여부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규모가 클수록 활동에 적극적이었다. 지난해 임직원 100명이상 중소기업은 CSR 활동을 하고있다는 비율이 64%로 100명미만 중소기업의 39%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다. 그러나 100명미만 중소기업의 경우, 지난 2011년만 해도 불과 7%만이 CSR 활동을 하고있다고 응답한 점에 비춰보면 급격한 증가추세를 읽을 수 있다. 아주 작은 규모의 중소기업들도 매우 빠른 속도로 CSR활동에 익숙해지고 실천에 나서고있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중소기업의 CSR 활동은 주로 사회공헌, 법적 의무이행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2011년 임직원의 근로조건 향성을 위해 노력하고있다는 응답이 7%에 불과했던데 비해 2013년에는 그 비중이 14%로 높아졌다. ‘자선단체에 기부, 소외계층 지원등 사회공헌활동’ ‘법준수, 성실한 조세 납부 등 법적 의무 이행’이 15%를 차지했다.

중소기업들은 CSR 활동수행에 가장 큰 제약요인은 ‘물적 인적 자원의 한계‘를 꼽았다. ‘시간과예산이 부족해서’ ’CSR 방법을 몰라서’ ‘관련 법제도와 정부지원책이 부족해서’ ‘경영진의 관심과 의지가 부족해서’ ‘임직원의 관심이 부족해서’ ‘효과에 대해 의문이 들어서’ 등의 이유가 차례로 제시됐다.

이와 관련, 중소기업들은 자금 및 예산(34%), 전문교육(27%), 정부지원제도(21%), 담당인력(11%), 전문가 협조(7%) 등을 요구했다.

한국생산성본부 이 상무는 “중소기업들은 CSR 경영이 기업운영에 긍정적 도움을 준다고 인식하고있지만 인적 물적 자원의 한계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있다”며 “자금과 예산, 정부지원제도 등이 지속적으로 마련돼야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