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대통령의 선출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에 미칠 영향은 무엇일까? 새 정부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정책들이 강화되고 확대될 것임을 시사하는 징후들이 있다.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캠프는 공적연기금의 사회책임투자(SRI) 전면 시행, 기업의 ESG 정보공시 의무화, CSR 국가전략 수립 등의 정책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당장 주목을 해야 할 부분은 인권 경영이다.

올해 5월, 국가인권위원회는 새 정부가 추진할 10대 인권과제를 발표했고 그 중 하나가 ‘기업의 인권경영 확대’다. 이보다 전인 2016년 9월 국가인권위원회는 정부에 ‘기업과 인권 국가인권 정책기본계획’을 권고한 바 있다. 기업과 인권에 관한 국가정책의 일관성과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조치였다. 2014년엔 국가인권위원회가 적용을 권고한 ‘공공기관 인권경영 실천과 확산을 위한 인권경영 가이드라인 및 체크리스트’가 115개 공공기관에 의해 수용되기도 했었다. 이처럼 인권 경영의 확대를 위한 노력은 정부와 공공기관들에서 비교적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곧 기업에게로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인권은 문재인 대통령의 이력을 구성하는 정체성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

문제는 기업이 인권경영을 어떻게 수용하고 내재화할 것인가에 있다. 전문가들은 우선 주요 공기업과 민간기업의 인권경영 실천이 시급하고, 기업 담당자들의 역량강화가 중요한 열쇠가 될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당장 기업의 담당자들도 인권 경영을 어디에서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한 것인 현실이다.

한국인권재단 기업과 인권 센터는 올해 6월 24일부터 7월 1일까지 진행되는 ‘기업과 인권 국제연수’에 참가할 기업, 공공기관의 관계자를 모집하고 있다. 전체 7박8일의 일정은 OECD 기업책임경영(RBC) 글로벌 포럼 참가를 중심으로, 유니레버, 로레알 등 글로벌 기업의 본사 방문, 국제엠네스티 본부 등 비정부비구 방문, OECD 대한민국 대표부 방문 등으로 구성된다.

기업과 인권 센터는 “기업과 인권은 이제 국제사회에서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규범으로 자리잡았다”며 7박8일의 일정을 통해 인권 경영에 대한 국제적인 동향과 흐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니레버는 전 세계 88개국에 제조시설을 갖춘 다국적 기업으로서 사업 가치와 기준, 공급자와의 관계, 외부 이니셔티브 참여 등 세 가지 방식으로 인권경영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개별 기업 차원에서 인권경영에 대한 접근법에 대한 힌트를 줄 수 있습니다. 국제엠네스티는 인권경영에 대한 중대한 이해관계자라 할 수 있는 국제 비정부기구입니다. 인권경영에 대한 현장의 욕구를 이해하고 비정부기구와의 파트너십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OECD 대한민국 대표부를 방문해서 OECD 다국적기업 가이드라인에 대한 최신의 국제동향을 듣게 됩니다.”

기업과 인권 국제연수는 한국인권재단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관련문의 한국인권재단 간사 이서영 02-363-0002)

당장 인권경영에 대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더라도 일단 국가인권위원회의 기업과 인권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 권고안에 대한 검토는 필수적이다. 권고안은 주요과제로 네 가지를 상정하고 있다. 공공기관의 인권경영 제도화, 대기업의 인권경영 권장, 중소기업의 준법경영 정착, 인권피해자를 위한 효과적인 구제절차 제공 등이다. 이에 따라 기업에 대한 신용제공, 투자 및 융자에서의 영향력 활용, 인권경영에 대한 교육과 홍보, 비재무적 정보의 공시의무제도 도입, 공공조달에서의 인권요소의 고려 등의 세부적인 과제들이 제시되고 있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인권 경영이 기업의 경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에 대해 충분히 대비를 해야 하다. 방어적인 준비로는 부족하다. 전 세계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인권 경영에 대한 기대감을 잘 이해하고 대응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