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건설산업사회공헌재단 홈페이지

지난해 국내 대형 건설사들은 광복절 특별사면으로 관급공사 입찰 자격을 회복했다. 이와 동시에 2,000억 원 규모의 사회공헌기금 조성을 약속했다. 이후 건설업계는 사회공헌재단을 설립하고 지난 3월 31일 지정기부금단체로 지정 받는 등 사회공헌을 위한 준비를 진행해왔다.

그러나 현재까지 모인 기금은 50여 억 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한 논란이 제기되자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19일 간담회 자리를 마련했다.

이투데이에 따르면 간담회 자리에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정확히 2000억이라는 액수가 어디서 나왔는지 모르겠지만 사실상 사면받은 70여 개 건설사에서 많은 기금을 낼 만한 곳은 10개사에 불과하지 않으냐"면서 "지난해 건설사별로 수십억 원에서 수천억 원의 과징금을 낸 상황에서 정부가 사회공헌기금까지 내라고 압박하다 보니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2000억 원이라는 금액이 어디서 나왔는지 모르겠다는 주장과 다르게 건설산업사회공헌재단의 홈페이지에는 "사회공헌재단을 출범하고 2,000억 원 규모의 기금을 마련한다"는 내용의 보도자료가 올라와 있다.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는 주장도 맞지 않는다. 삼성물산, 현대건설, 대우건설, 대림산업, GS건설 등 주요 대형 건설사의 2분기 실적은 주택시장의 호조세와 맞물려 모두 큰 폭으로 개선됐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건설업계가 사회공헌 활동에 소홀히 해 온 것은 아니다. 전경련 발표에 따르면 주요 국내 대기업들의 세전 이익 대비 사회공헌 비용 지출 비율은 3.2%다. 같은 년도 건설업계의 세전 이익 대비 사회공헌 비용 지출 비율은 대한 건설단체총연합회 조사에 따르면 4.62%였다. 이처럼 타 업계 이상으로 소년소녀가장, 홀몸노인, 다문화 가정, 건설 재해 유자녀 가정 등 취약계층 주택을 고쳐주고 노후화된 사회복지시설 개보수 사업 등을 펼쳐왔다.

그러나 이번 2000억 원 규모의 사회공헌 기금을 약속한 것은 4대강 사업, 인천도시철도, 호남고속철도, 경인 운하, 서울지하철 등 관급 공사에서 담합한 대가로 과징금을 부과받고 이에 반성하는 의미에서 공정 경쟁을 실천하겠다고 스스로 내세운 공약이다. 한국은 OECD 회원국 평균보다 GDP 대비 건설업의 비중이 2배가량 높다. 시민들이 건설업계에 관심을 갖는 것은 당연하다. 최소한 약속 이행을 위한 성의를 보여야 한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